📌 웹 브라우저에서 "hello" 검색 시 요청 & 응답 과정 정리
1️⃣ 웹 브라우저 → 구글 서버 요청 과정
🔹 (1) URL 입력 & DNS 조회
-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.google.com 입력 후 "hello"를 검색
- 브라우저는 DNS 조회를 통해 www.google.com의 IP 주소를 찾음
(예: 142.250.190.78)
🔹 (2) HTTP 요청 메시지 생성
웹 브라우저가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
GET /search?q=hello&hl=ko HTTP/1.1
Host: http://www.google.com
Host: http://www.google.com
🔹 (3) 소켓 라이브러리를 통해 TCP/IP 연결
A. TCP/IP 연결 설정
- 출발지 IP: 사용자의 PC (예: 192.168.1.10)
- 목적지 IP: 구글 서버 (142.250.190.78)
- 출발지 포트: 랜덤 포트 (예: 50234)
- 목적지 포트: 443 (HTTPS)
B. HTTP 요청 데이터 전달
- 브라우저가 소켓을 통해 HTTP 요청 메시지를 TCP 패킷에 담아 전송
2️⃣ 패킷 생성 (네트워크 계층 처리)
📌 전송되는 TCP 패킷 구조

- IP 계층: 패킷을 목적지 IP로 전달
- TCP 계층: 목적지 포트(443)로 데이터 전송
3️⃣ 구글 서버 → 웹 브라우저 응답 과정
🔹 (1) HTTP 응답 패킷 생성
구글 서버가 요청을 처리한 후 응답을 보냄
📌 응답 패킷 구조

🔹 (2) 웹 브라우저에서 응답 데이터 처리
- HTTP 응답 수신 후 응답 메시지 해석
- HTML, CSS, JS 렌더링하여 화면에 표시
- 사용자는 구글 검색 결과 페이지를 확인
✅ 최종 흐름 요약
1️⃣ 브라우저에서 "hello" 검색
2️⃣ DNS 조회 → 구글 IP 확인
3️⃣ HTTP 요청 메시지 생성 후 TCP/IP 패킷으로 전달
4️⃣ 구글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 패킷 생성
5️⃣ 웹 브라우저가 응답을 받아 HTML을 렌더링
6️⃣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확인
📌 요약하면, "검색어 입력 → 요청 전송 → 응답 수신 → 웹 페이지 렌더링" 흐름으로 동작합니다!
댓글